[UNIX] AIX lsvg/lspv/lslv 사용 정리
PV : 실제 하드 드라이브 포맷 (통상의 포맷과 같은 단계이며, VG에 포함하기 위한 포맷입니다.)
VG : 하나 이상의 PV를 합쳐 하나의 VG를 만들 수 있습니다.
LV : VG을 필요한 용량으로 파티션하여 마치 MS-DOS에서의 C: D: 등처럼 개별적인 논리 드라이브로 사용하게 됩니다.
사실 이것으로는 잘 감이 안옵니다 만.......일단 명령어 위주로 함 알아보겠습니다.
----------------------------------
1. lsvg
----------------------------------
이 명령은 Volume group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 입니다.
Volume Group은 Storage 정보 중 가장 큰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VG에는 Physical한 정보와 Logical한 정보가 존재하죠..
명령어 하나 하나 실행해 보면서 부가적인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 lsvg --> 말그대로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VG를 보여줍니다.
rootvg
tsmvg1
tsmvg2
#
#lsvg -o --> Online(Varyon)되어 있는 VG를 보여줍니다. Varyon되어 있다는 것은 VG가 사용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는 것이죠..
tsmvg1
rootvg
#
#lsvg rootvg -> rootvg의 정보를 보여줍니다.
VOLUME GROUP: rootvg VG IDENTIFIER: 000c56260000d6000000011015fc9396
VG STATE: active PP SIZE: 64 megabyte(s)
VG PERMISSION: read/write TOTAL PPs: 639 (40896 megabytes)
MAX LVs: 256 FREE PPs: 242 (15488 megabytes)
LVs: 13 USED PPs: 397 (25408 megabytes)
OPEN LVs: 11 QUORUM: 2
TOTAL PVs: 1 VG DEscRIPTORS: 2
STALE PVs: 0 STALE PPs: 0
ACTIVE PVs: 1 AUTO ON: yes
MAX PPs per VG: 32512
MAX PPs per PV: 1016 MAX PVs: 32
LTG size (Dynamic): 256 kilobyte(s) AUTO SYNC: no
HOT SPARE: no BB POLICY: relocatable
#
여러 가지 정보가 나오네요...첨보면 뭘 봐야하는 지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 지...난감합니다.
몇개만 뜯어 보겠습니다.
PP SIZE : 64megabyte(s) --> VG 의 최소단위입니다.
TOTAL PPs : 639 (40896 megabytes) --> 현재 VG는 639개의 PP를 가지고 있으며 그 용량은 40G입니다.
Free PPs : 242 (15488 megabytes) -->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 PP 개수이며 그 용량은 15G입니다.
Used PPs : 397 (25408 megabytes) --> 현재 할당되어 사용되고 있는 PP 개수이며 그 용량은 25G입니다.
TOTAL PVs: 0 -> 현재 rootvg에는 총 1개의 PV가 있습니다. (disk가 1개가 소유되어 있다는 말입니다.)
STALE PVs: 0 -> 현재 rootvg에는 STALE 난 PV가 하나도 없습니다.
(STALE이 나면 booting이 안되겠죠? disk가 하나니깐....그래서 rootvg는 mirror가 recommand입니다.)
AUTO ON : yes -> 이 VG는 booting시에 자동으로 Varyon 된다는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들은 실제 거의 쳐다 보지 않습니다.
#lsvg -p rootvg -> rootvg 내에 속해 있는 PV name과 몇가지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rootvg:
PV_NAME PV STATE TOTAL PPs FREE PPs FREE DISTRIBUTION
hdisk0 active 639 242 85..00..00..29..128
#
#lsvg -l rootvg -> rootvg 내에 속해 있는 LV name과 몇가지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rootvg:
LV NAME TYPE LPs PPs PVs LV STATE MOUNT POINT
hd5 boot 1 1 1 closed/syncd N/A
hd6 paging 64 64 1 open/syncd N/A
paging00 paging 64 64 1 open/syncd N/A
paging01 paging 64 64 1 open/syncd N/A
hd8 jfslog 1 1 1 open/syncd N/A
hd4 jfs 2 2 1 open/syncd /
hd2 jfs 159 159 1 open/syncd /usr
hd9var jfs 4 4 1 open/syncd /var
hd3 jfs 2 2 1 open/syncd /tmp
hd1 jfs 17 17 1 open/syncd /home
dumplv dump 10 10 1 open/syncd N/A
chklv jfs 8 8 1 open/syncd /ibm
lv05 jfs2log 1 1 1 closed/syncd N/A
#
여기서 간단히 살펴보면 특정한 LV는 시스템이 설치될 때 구성이 됩니다. (hd5, hd6, hd# 등등)
LV NAME : 말 그대로 LV 이름입니다.
TYPE : 해당 LV의 Type 입니다. 이 Type으로 각각의 LV가 쓰임새가 결정됩니다. 변경은 불가능하구요. 만들때 결정되어 집니다.
LPs/PPs : 해당 LV에 할당된 LP와 PP 갯수 입니다. (각각 갯수*PP Size 하면 LV의 크기가 나오겠죠?)
PVs : 해당 LV의 copy 갯수로 PVs가 2개이상이면 해당 LV는 mirror가 되어 있다고 판단하시면 됩니다. (copy 수는 최대 3입니다.)
LV STATE : LV의 상태 정보입니다. open - 사용중, Closed - 비사용중, Stale - LV가 고장났습니다.(^^)
Mount Point : 해당 LV로 File System으로 구성될 때....Mount Point로 사용됩니다.
----------------------------------
2. lspv
----------------------------------
이 명령은 PV(실제 disk, disk array)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lsvg 명령을 위에서 한 번 보셨으니 이번 명령은 비슷하게 보일 것입니다.
간단하게 comment를 달도록 해보겠습니다.
# lspv -> 현재 시스템에 속해있는 disk 정보와 상태를 보여줍니다.
hdisk0 000c56267ec09d04 rootvg active
hdisk1 000c56267ec09d2e logvg active
#
hdisk0는 PVID는 000c56267ec09d04이고, rootvg에 속해있는 PV이며 현재 상태는 varyon 되어 있다입니다.
PVID는 매우 중요한 정보입니다. PVID로 OS에서는 인식하고 동작합니다.
관리자나 운영자가 보기에는 영 시원챦은 정보이지만 중요한 정보입니다.
#lspv hdisk0 -> hdisk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자세히 보여줍니다.
PHYSICAL VOLUME: hdisk0 VOLUME GROUP: rootvg
PV IDENTIFIER: 000c56267ec09d04 VG IDENTIFIER 000c56260000d6000000010fa4073641
PV STATE: active
STALE PARTITIONS: 0 ALLOCATABLE: yes
PP SIZE: 64 megabyte(s) LOGICAL VOLUMES: 14
TOTAL PPs: 639 (40896 megabytes) VG DEscRIPTORS: 2
FREE PPs: 452 (28928 megabytes) HOT SPARE: no
USED PPs: 187 (11968 megabytes) MAX REQUEST: 256 kilobytes
FREE DISTRIBUTION: 127..72..00..128..125
USED DISTRIBUTION: 01..56..127..00..03
#
여기 정보도 lsvg와 비슷한 형태로 보입니다. 대충 파악이 되실 듯..
#lspv -l hdisk0 -> hdisk0에 속해있는 LV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hdisk0:
LV NAME LPs PPs DISTRIBUTION MOUNT POINT
hd9var 23 23 00..08..15..00..00 /var
hd3 20 20 00..10..10..00..00 /tmp
hd1 13 13 00..00..13..00..00 /home
hd8 1 1 00..00..01..00..00 N/A
hd4 2 2 00..00..02..00..00 /
hd2 77 77 00..00..77..00..00 /usr
hd5 1 1 01..00..00..00..00 N/A
hd6 32 32 00..32..00..00..00 N/A
loglv01 1 1 00..01..00..00..00 N/A
ibmlv 1 1 00..01..00..00..00 /ibm
optlv 2 2 00..02..00..00..00 /opt
dumplv 3 3 00..00..00..00..03 N/A
lv00 2 2 00..02..00..00..00 /home/ftp/NAV
usr_local 9 9 00..00..09..00..00 /usr/local
#
----------------------------------
3. lslv
----------------------------------
이 명령어는 LV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자주 쓰지는 않지만 Stripping되어 있는 LV들이나 mirror된 LV들을 확인할 때 씁니다.
#lslv lv00
LOGICAL VOLUME: lv00 VOLUME GROUP: rootvg
LV IDENTIFIER: 000c56260000d6000000010fa4073641.12 PERMISSION: read/write
VG STATE: active/complete LV STATE: opened/syncd
TYPE: jfs WRITE VERIFY: off
MAX LPs: 512 PP SIZE: 64 megabyte(s)
COPIES: 1 SCHED POLICY: parallel
LPs: 2 PPs: 2
STALE PPs: 0 BB POLICY: relocatable
INTER-POLICY: minimum RELOCATABLE: yes
INTRA-POLICY: middle UPPER BOUND: 32
MOUNT POINT: /home/ftp/NAV LABEL: /home/ftp/NAV
MIRROR WRITE CONSISTENCY: on/ACTIVE
EACH LP COPY ON A SEPARATE PV ?: yes
Serialize IO ?: NO
#
#lslv -l lv00
lv00:/home/ftp/NAV
PV COPIES IN BAND DISTRIBUTION
hdisk0 002:000:000 100% 000:002:000:000:000
#lslv -m lv00
lv00:/home/ftp/NAV
LP PP1 PV1 PP2 PV2 PP3 PV3
0001 0137 hdisk0
0002 0138 hdisk0
#
lslv는 사실 그렇게 자주 쓰지 않으니 사용방법 정도만 파악하시면 될 듯합니다.
오늘 배운 명령어 lsvg/lspv 추가적으로 df 명령과 같이 자주 쓰시다 보면 전체적인 구조가 보입니다.
VG : 하나 이상의 PV를 합쳐 하나의 VG를 만들 수 있습니다.
LV : VG을 필요한 용량으로 파티션하여 마치 MS-DOS에서의 C: D: 등처럼 개별적인 논리 드라이브로 사용하게 됩니다.
사실 이것으로는 잘 감이 안옵니다 만.......일단 명령어 위주로 함 알아보겠습니다.
----------------------------------
1. lsvg
----------------------------------
이 명령은 Volume group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 입니다.
Volume Group은 Storage 정보 중 가장 큰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VG에는 Physical한 정보와 Logical한 정보가 존재하죠..
명령어 하나 하나 실행해 보면서 부가적인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 lsvg --> 말그대로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VG를 보여줍니다.
rootvg
tsmvg1
tsmvg2
#
#lsvg -o --> Online(Varyon)되어 있는 VG를 보여줍니다. Varyon되어 있다는 것은 VG가 사용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는 것이죠..
tsmvg1
rootvg
#
#lsvg rootvg -> rootvg의 정보를 보여줍니다.
VOLUME GROUP: rootvg VG IDENTIFIER: 000c56260000d6000000011015fc9396
VG STATE: active PP SIZE: 64 megabyte(s)
VG PERMISSION: read/write TOTAL PPs: 639 (40896 megabytes)
MAX LVs: 256 FREE PPs: 242 (15488 megabytes)
LVs: 13 USED PPs: 397 (25408 megabytes)
OPEN LVs: 11 QUORUM: 2
TOTAL PVs: 1 VG DEscRIPTORS: 2
STALE PVs: 0 STALE PPs: 0
ACTIVE PVs: 1 AUTO ON: yes
MAX PPs per VG: 32512
MAX PPs per PV: 1016 MAX PVs: 32
LTG size (Dynamic): 256 kilobyte(s) AUTO SYNC: no
HOT SPARE: no BB POLICY: relocatable
#
여러 가지 정보가 나오네요...첨보면 뭘 봐야하는 지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 지...난감합니다.
몇개만 뜯어 보겠습니다.
PP SIZE : 64megabyte(s) --> VG 의 최소단위입니다.
TOTAL PPs : 639 (40896 megabytes) --> 현재 VG는 639개의 PP를 가지고 있으며 그 용량은 40G입니다.
Free PPs : 242 (15488 megabytes) -->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 PP 개수이며 그 용량은 15G입니다.
Used PPs : 397 (25408 megabytes) --> 현재 할당되어 사용되고 있는 PP 개수이며 그 용량은 25G입니다.
TOTAL PVs: 0 -> 현재 rootvg에는 총 1개의 PV가 있습니다. (disk가 1개가 소유되어 있다는 말입니다.)
STALE PVs: 0 -> 현재 rootvg에는 STALE 난 PV가 하나도 없습니다.
(STALE이 나면 booting이 안되겠죠? disk가 하나니깐....그래서 rootvg는 mirror가 recommand입니다.)
AUTO ON : yes -> 이 VG는 booting시에 자동으로 Varyon 된다는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들은 실제 거의 쳐다 보지 않습니다.
#lsvg -p rootvg -> rootvg 내에 속해 있는 PV name과 몇가지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rootvg:
PV_NAME PV STATE TOTAL PPs FREE PPs FREE DISTRIBUTION
hdisk0 active 639 242 85..00..00..29..128
#
#lsvg -l rootvg -> rootvg 내에 속해 있는 LV name과 몇가지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rootvg:
LV NAME TYPE LPs PPs PVs LV STATE MOUNT POINT
hd5 boot 1 1 1 closed/syncd N/A
hd6 paging 64 64 1 open/syncd N/A
paging00 paging 64 64 1 open/syncd N/A
paging01 paging 64 64 1 open/syncd N/A
hd8 jfslog 1 1 1 open/syncd N/A
hd4 jfs 2 2 1 open/syncd /
hd2 jfs 159 159 1 open/syncd /usr
hd9var jfs 4 4 1 open/syncd /var
hd3 jfs 2 2 1 open/syncd /tmp
hd1 jfs 17 17 1 open/syncd /home
dumplv dump 10 10 1 open/syncd N/A
chklv jfs 8 8 1 open/syncd /ibm
lv05 jfs2log 1 1 1 closed/syncd N/A
#
여기서 간단히 살펴보면 특정한 LV는 시스템이 설치될 때 구성이 됩니다. (hd5, hd6, hd# 등등)
LV NAME : 말 그대로 LV 이름입니다.
TYPE : 해당 LV의 Type 입니다. 이 Type으로 각각의 LV가 쓰임새가 결정됩니다. 변경은 불가능하구요. 만들때 결정되어 집니다.
LPs/PPs : 해당 LV에 할당된 LP와 PP 갯수 입니다. (각각 갯수*PP Size 하면 LV의 크기가 나오겠죠?)
PVs : 해당 LV의 copy 갯수로 PVs가 2개이상이면 해당 LV는 mirror가 되어 있다고 판단하시면 됩니다. (copy 수는 최대 3입니다.)
LV STATE : LV의 상태 정보입니다. open - 사용중, Closed - 비사용중, Stale - LV가 고장났습니다.(^^)
Mount Point : 해당 LV로 File System으로 구성될 때....Mount Point로 사용됩니다.
----------------------------------
2. lspv
----------------------------------
이 명령은 PV(실제 disk, disk array)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lsvg 명령을 위에서 한 번 보셨으니 이번 명령은 비슷하게 보일 것입니다.
간단하게 comment를 달도록 해보겠습니다.
# lspv -> 현재 시스템에 속해있는 disk 정보와 상태를 보여줍니다.
hdisk0 000c56267ec09d04 rootvg active
hdisk1 000c56267ec09d2e logvg active
#
hdisk0는 PVID는 000c56267ec09d04이고, rootvg에 속해있는 PV이며 현재 상태는 varyon 되어 있다입니다.
PVID는 매우 중요한 정보입니다. PVID로 OS에서는 인식하고 동작합니다.
관리자나 운영자가 보기에는 영 시원챦은 정보이지만 중요한 정보입니다.
#lspv hdisk0 -> hdisk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자세히 보여줍니다.
PHYSICAL VOLUME: hdisk0 VOLUME GROUP: rootvg
PV IDENTIFIER: 000c56267ec09d04 VG IDENTIFIER 000c56260000d6000000010fa4073641
PV STATE: active
STALE PARTITIONS: 0 ALLOCATABLE: yes
PP SIZE: 64 megabyte(s) LOGICAL VOLUMES: 14
TOTAL PPs: 639 (40896 megabytes) VG DEscRIPTORS: 2
FREE PPs: 452 (28928 megabytes) HOT SPARE: no
USED PPs: 187 (11968 megabytes) MAX REQUEST: 256 kilobytes
FREE DISTRIBUTION: 127..72..00..128..125
USED DISTRIBUTION: 01..56..127..00..03
#
여기 정보도 lsvg와 비슷한 형태로 보입니다. 대충 파악이 되실 듯..
#lspv -l hdisk0 -> hdisk0에 속해있는 LV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hdisk0:
LV NAME LPs PPs DISTRIBUTION MOUNT POINT
hd9var 23 23 00..08..15..00..00 /var
hd3 20 20 00..10..10..00..00 /tmp
hd1 13 13 00..00..13..00..00 /home
hd8 1 1 00..00..01..00..00 N/A
hd4 2 2 00..00..02..00..00 /
hd2 77 77 00..00..77..00..00 /usr
hd5 1 1 01..00..00..00..00 N/A
hd6 32 32 00..32..00..00..00 N/A
loglv01 1 1 00..01..00..00..00 N/A
ibmlv 1 1 00..01..00..00..00 /ibm
optlv 2 2 00..02..00..00..00 /opt
dumplv 3 3 00..00..00..00..03 N/A
lv00 2 2 00..02..00..00..00 /home/ftp/NAV
usr_local 9 9 00..00..09..00..00 /usr/local
#
----------------------------------
3. lslv
----------------------------------
이 명령어는 LV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자주 쓰지는 않지만 Stripping되어 있는 LV들이나 mirror된 LV들을 확인할 때 씁니다.
#lslv lv00
LOGICAL VOLUME: lv00 VOLUME GROUP: rootvg
LV IDENTIFIER: 000c56260000d6000000010fa4073641.12 PERMISSION: read/write
VG STATE: active/complete LV STATE: opened/syncd
TYPE: jfs WRITE VERIFY: off
MAX LPs: 512 PP SIZE: 64 megabyte(s)
COPIES: 1 SCHED POLICY: parallel
LPs: 2 PPs: 2
STALE PPs: 0 BB POLICY: relocatable
INTER-POLICY: minimum RELOCATABLE: yes
INTRA-POLICY: middle UPPER BOUND: 32
MOUNT POINT: /home/ftp/NAV LABEL: /home/ftp/NAV
MIRROR WRITE CONSISTENCY: on/ACTIVE
EACH LP COPY ON A SEPARATE PV ?: yes
Serialize IO ?: NO
#
#lslv -l lv00
lv00:/home/ftp/NAV
PV COPIES IN BAND DISTRIBUTION
hdisk0 002:000:000 100% 000:002:000:000:000
#lslv -m lv00
lv00:/home/ftp/NAV
LP PP1 PV1 PP2 PV2 PP3 PV3
0001 0137 hdisk0
0002 0138 hdisk0
#
lslv는 사실 그렇게 자주 쓰지 않으니 사용방법 정도만 파악하시면 될 듯합니다.
오늘 배운 명령어 lsvg/lspv 추가적으로 df 명령과 같이 자주 쓰시다 보면 전체적인 구조가 보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