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iptime.co.kr 1. WPA - PSK 의 사용 배경 동작 원리 기존의 WEP 암호화 방식은 취약한 보안으로 인해 기업환경에서는 거의 사용이 불가능해진 상태입니다. WEP 알고리즘은 대칭벡터 ( IV : Initialization Vector ) 의 평문전송, 키 스트림의 단순성, 고정키 사용에 따른 RC4 키 갱신 부재 등으로 인해 키 길이에 상관없이 그 보안기능이 취약하다고 판명되었습니다. 사용자들이 WEP 사용에 인색한 이유는, 대부분의 무선 랜 제품들이 " WEP 사용안함 " 을 기본 설정으로 출고 되기 때문에, 사용자들 역시 이 기능을 " 사용함 " 으로 설정하는걸 잊은채 ( 혹은 귀찮아서 ) 그냥 내버려 둔다는게 첫 번째이며, 두 번째는 WEP 설정시 연결이 잘 안된다거나, 초보자들의 경우 여러가지 옵션 ( ASCII, Hexadecimal, PassPhrase 등 ) 이나 키 입력 과정의 복잡함 이 그 이유였습니다.WPA 는 옵션이나 키 입력의 방식이 WEP 방식 보다 간단하여 설정하기 더욱 편리해졌습니다. WPA 는, 대칭벡터 ( IV : Initialization Vector ) 라 불리는 WEP 헤더의 취약점 ( 고정 암호키 방식 ) 을 해결하기 위해 그 대응책으로 개발되었습니다. 데이터 암호화를 강화하기 위해 TKIP ( Temporal Key Integrity Protocol ) 과 AES (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 라는 IEEE 802.11i 보안 표준을 사용합니다. TKIP ( Temporal Key Integrity Protocol ) 은 순서 규칙이 있는 48 비트 초기화 벡터 (WEP 에서는 24 비트 초기화 벡터 ) 를 이용하는데, 이것은 키 재사용 및 재생 공격 을 방지해 줍니다.또한, WEP 취약 키 공격을 막아주는 패킷당 키 혼합 기능과, 패킷 위조 공격을 막아주는 암호 체크 섬 키 기능이 있습니다. AES( Advanced Encryp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