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LINUX Server Manage인 게시물 표시

ls 명령어의 파일 사이즈 쉽게 확인하기

ls 명령어의 파일 사이즈 쉽게 확인하기 ls 의 스위치 옵션 -h (--human-readable) 를 이용하면 KB/MB/GB 단위로 쉽게 파일 사이즈 확인이 가능하다. [HOSTWAY] /home > # ls -al h total 312G drwxr-xr-x.  6 root      root      4.0K Oct 22 23:16 . drwxrwxrwt  25 root      root      4.0K Oct 22 09:36 .. -rw-r--r--   1 root      root       98G Oct 23 13:07 100GB_LUN01 -rw-r--r--   1 root      root       200G Oct 23 13:07 200GB_LUN01 drwx------.  2 root      root       16K Oct 13  2011 lost+found drwxr-xr-x   3 root      root       4.0K Feb 28  2012 svn -rw-r--r--   1 root      root      9.8G Nov 11  2011 SWAP_FILE 또한, -S 스위치 옵션을 사용하면, 사이즈로 descending 정렬이 가능하다. [HOSTWAY] /home > # ls -al S h total 312G -rw-r--r--   1 root     ...

Linux 리눅스 시간 동기화

리눅스 시간 동기화 하기. rdate -s time.kriss.re.kr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서버서 시간 동기화 rdate -s bora.net            <------ 보라넷 버서 시간 동기화 clock -w                      <------ 하드웨어 바이오스 동기화 hwclock --show              <------ 하드웨어 설정 시간 보기 * crontab 에 등록시켜놓아도 됨. #vi time-sync.cron  #!/bin/bash  /usr/bin/rdate -s time.bora.net && /sbin/clock -w

OS별로 Thread별 CPU사용량 알아내는 방법

OS별로 Thread별 CPU사용량 알아내는 방법 +++++++++++++++++++++++++++++++++++++++ +++++++++ 문제 설명 ++++++++++ WebLogic Server 프로세스의 CPU 사용량이 과도하게 높기 때문에 시스템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CPU 사용량이 높은 원인을 파악하고자 합니다. 문제 해결 다음 항목을 모두 수행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경우에는 다음 중 일부만 수행 하여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항목 바로가기 문제 발생 원인 이 문제는 WebLogic Server 자체의 문제, 사용자가 만든 스레드, 잘못된 코딩 방식 또 는 타사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 발생 원인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 패턴은 운영 체제 고유의 명령을 사용하여 수 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맨 위로 높은 CPU 사용량에 대한 데이터 수집 높은 CPU 사용량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려면 운영 체제별로 아래 단계를 따르십시 오. 중요 참고 사항: 이러한 운영 체제에 대한 모든 정보는 Sun JVM을 기반으로 합니다. 현재 JRockit에서 는 CPU 사용량을 나타내는 운영 체제 명령(prstat, top, pslist 등)에서 가져온 PID 를 스레드 덤프의 올바른 스레드로 매핑할 수 없습니다. 이 매핑은 JRockit 70SP4RP2 버전과 81SP2RP1 버전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Linux에서 스레 드 덤프는 이들 릴리스 이후에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납니다. (PID는 스레드 덤프에 출 력됩니다.) "ExecuteThread: '20' for queue: 'default'" id: 0x00000e80 prio: 5 ACTIVE, DAEMON, GCABLE thread: 0x469b0af0 lastj: 0xac0f19c pt_...

Linux 리눅스 서버에서 열려있는 포트 확인

리눅스로 웹서버나 텔넷서버, FTP, Mail, 등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시작한 후에는 어떤 포트가 열려있는지 관심을 갖고 이들을 모니터링 해야한다.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netstat -an  이나  lsof -i  를 많이 쓰는데 이 방법은 프로그램 자체가 네트워크를 통해 시스템에 접근하지 않기때문에, 다시말해, 시스템 내부에서 어떤 서비스들이 돌아가고 있는지만 확인하므로 그리 신뢰할만하지 못하다. 내 시스템이 네트워크에서 어떤 포트들에 귀를 귀울이는지(listen) 확인하는데 좀 더 신뢰할 만한 방법은 네트워크 포트 스캐너의 하나인  nmap  을 쓰는 것이다. 아래 명령은 시스템이 네트워크에서 어떤 TCP 포트를 열고 기다리는지 보여준다. nmap -sT -O localhost 결과는 아래와같이 나온다. Starting nmap V. 3.00 ( www.insecure.org/nmap/ ) Interesting ports on localhost.localdomain (127.0.0.1): (The 1596 ports scanned but not shown below are in state: closed) Port       State       Service 22/tcp     open        ssh 111/tcp    open        sunrpc 515/tcp    open        printer 834/tcp    open        unknown 6000/tcp   open        X11 Remote OS guesses: Linux Kernel 2.4.0 o...

리눅스 root 패스워드 분실 시 복구 방법

이미지

[LINUX] 리눅스 설치후 셋팅

1.글자 깨짐 현상 해결    #echo $LANG    #LANG=C 2.시간,날짜 설정  형식: date MMDDHHMMYYYY        ex>#date 081509541985             --time server        ex>#rdate -s time.bora.net             #ntpdate -s time.kriss.re.kr 3.run -level설정 =>리눅스에서는 총7개의 실행레벨을 제공한다 .이것은 윈도우 부팅시 F8을 누름으로서 나타나는    내용과 동일한 기능이다. #vi /etc/inittab(부팅 순서 설정) id:3:initdefault: 줄의 숫자를 고쳐줌 4.Network 설정 #ifconfig #hostname #vim /etc/sysconfig/network(hostname 와 gateway 설정) #vim /etc/resolv.conf(DNS설정) #netconfig(고정/유동 아이피 설정) ----> system-config-network(최신버전에서) 적용 #service network restart 확인 #ping -c3 yahoo.co.kr 5.#df -h(파티션 정보)    #fdisk -l(모든 물리적 파티션 정보) 6.prompt 설정   #alias vim='vim'   #vim /etc/bashrc   LANG=C       PS1=\W를 소...

[LINUX] 부팅시 서비스 실행 설정

1. root권한으로 login 2. setup 실행 3. system service 선택 4. 조정후 확인

Linux IPTABLE 사용

3 가지 체인이 존재한다. INPUT, OUTPUT, FORWARD    Chain INPUT (policy ACCEPT) target     prot opt source               destination            Chain FORWARD (policy ACCEPT) target     prot opt source               destination            Chain OUTPUT (policy ACCEPT) target     prot opt source               destination       INPUT: 들어가는 패킷이 통과하는 체인 OUTPUT: 나가는 모든 패킷이 통과하는 체인 FORWARD: 한 네트워크를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해 iptables 방화벽을 사용해서 두 네트워크 간의 패킷이 방화벽을 통과해야 하는 경우     100.100.100.1 아이피에 대해 서버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차단해 보자.   [root@sf2 ~]# iptables -A INPUT -s 100.100.100.1 -j DROP [root@sf2 ~]# iptables -L -n Chain INPUT (policy ACCEPT) target     prot opt source               dest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