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Qgrid의 지정한 칼럼, 지정한 열을 다른색으로 지정하기

사용자에게 해당칼럼이나 열의 정보를 강조하기 위해서 테이블의 배경색을 바꾸고 싶을 때는 다음처럼 처리한다. // 배경색상 css 선언 var   cssGreen = { 'background-color' : '#6DFF6D' };       // 그리드 데이터의 ID 가져오기 var   ids = $( '#requestList' ).jqGrid( 'getDataIDs' );       // 그리드 데이터 가져오기 var   gridData = $( "#requestList" ).jqGrid( 'getRowData' );   // 데이터 확인후 색상 변경 for   ( var   i = 0; i < gridData.length; i++) {            // 데이터의 is_test 확인      if   (gridData[i].is_test ==  'Y' ) {                    // 열의 색상을 변경하고 싶을 때(css는 미리 선언)          $( '#requestList tr[id='   + ids[i] +  ']' ).addClass( 'grid-test' );                    // 칼럼의 색생을 변경하고 싶을 때 ...

db2 테이블스페이스 확인 및 확장

DB 시작 # su - db2inst1 $ db2start $ db2 connect to DB_NAME DB 종료 # su - db2inst1 $ db2 terminate $ db2 force application all $ db2stop * 참고 db2 activate db 명령어는 DB global memory를 미리 메모리에 상주시켜, 처음 connect 시간을 단축 DB를 중지 시 db2 deactivate db 명령어를 이용하여 메모리를 release 시켜야 함 $ db2 activate db 테이블스페이스 확인 $ db2 list tablespaces show detail | more 테이블스페이스 확인 $ db2 list tablespace containers for 3 (3 : Tablespace ID) 로그 확인 $ db2diag >> db2diag.log_1 * The DMS table space "TABLE_NAME" (ID "3") is full. "DMS Container space full" Error 메세지 확인. (3은 Tablespace ID) * DMS(Database Managed Space) 테이블 공간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이 저장 공간을 제어한다. SMS(System Managed Space)에 비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지만, long 데이터, index등을 따로 저장할 수 있고 하나의 데이블을 여러 테이블 공간에 저장할 수 있는 등 성능면에서 이점. * Tablesapce에 할당되는 페이지 개수는 4, 8, 16, 31k 단위이며, Logical Volumn 생성시 부여한 lv size 보다 크게 지정할 경우 Error가 발생하고, 작게 지정할 경우 남은 size 만큼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정확하게 계산하여 지정. 테이블스페이스 생성 $ create tablespace TABLESPACE_NAME ma...

db2 Linux 설치

DB2 설치 및 삭제 설치 OS . CentOS 5.7 . Gnome 다운로드 . http://www.ibm.com/db2/express/download.html . db2exc_975_LNX_x86.tar.gz # cd /usr/local # tar xvfz db2exc_975_LNX_x86.tar.gz 커널 수정 # ipcs -l # sysctl -w kernel.msgmni=128 설치1 - GUI # ./db2setup . 제품 설치 . 새로 설치 . 소프트웨어 사용권 계약 : 승인 . 일반 설치 . 내 설정값 저장 . 설치 디렉토리 : /opt/ibm/db2/v9.7 . DAS 사용자 - dasusr1 / dasadm1 . 인스턴스 설정 . 인스턴스 사용자 - db2inst1 / db2iadm1 . 분리 사용자 - db2fenc1 / db2fadm1 설치2 # mkdir /db2home # groupadd -g 999 db2iadm1 # groupadd -g 998 db2fadm1 # groupadd -g 997 dasadm1 # useradd -u 1004 -g db2iadm1 -m -d /db2home/db2inst1 db2inst1 # useradd -u 1003 -g db2fadm1 -m -d /db2home/db2fenc1 db2fenc1 # useradd -u 1002 -g dasadm1 -m -d /home/dasusr1 dasusr1 # passwd db2inst1 # mkdir /db2data # mkdir /db2data/db2inst1 # chown -R db2inst1:db2iadm1 /db2data/db2inst1 # chmod 0775 /db2data/db2inst1 # ./db2_install ; DB2.EXP # cd /opt/ibm/db2/v9.7/instance # ./db2icrt -u db2fenc1 db2inst1 # ./dascrt d...

db2 command

실행 . 대화식 모드 # su - db2inst1 $ db2 db2 => select * from table . 비대화식 모드 $ db2 "select * from table" $ ls -al 세션 종료 db2 => quit ; 데이터베이스 접속은 유지 db2 => terminate ; 데이터베이스 접속 및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종료 스크립트 실행 $ db2 -tvf file_name 예제 $ db2 connect to sample $ db2 list tables $ db2 ! ls $ db2 ? list tables $ db2 ? list 참고 db2 => ? db2 => help <명령문> db2 => !<OS 명령어> db2 => HISTORY

db2 인스턴스

인스턴스 생성 . db2icrt -u <Fenced ID> <InstName> . Fenced User ID를 반드시 지정 (설치 유저 생성 참조) # cd /opt/ibm/db2/v9.7/instance # ./db2icrt -u db2fenc1 db2inst1 # ./dascrt dasusr1 인스턴스 제거 . 데이터베이스 확인 $ db2 list db directory . 데이터베이스 삭제 $ db2 drop db sample . 인스턴스를 모두 중지 $ db2stop force $ exit $ ./db2idrop db2inst1 . 데이터베이스를 다른 인스턴스에 사용할 경우 - 데이터베이스를 drop 하지 않고 인스턴스를 중지 $ ./db2idrop db2inst1 $ db2 catalog db sample on /home 인스턴스 시작 # su - db2inst1 $ db2start 인스턴스 중지 # su - db2inst1 $ db2 force applications all $ db2stop $ db2stop force 인스턴스 구성 파일 확인 $ db2 attach to db2inst1 $ db2 get dbm cfg show detail | more $ db2 detach 인스턴스 구성 변수 초기화 $ db2 reset dbm cfg $ db2stop force $ db2start db2 관리 서버 . 제어 센터 등의 GUI 도구를 이용하여 db2 udb를 운영할 경우 필요 # su - dasusr1 $ db2admin start $ db2admin stop . DAS 확인 $ db2set db2adminserver

db2 데이터베이스

개요 . 하나의 인스턴스에 한 개 이상의 데이터베이스 생성 . 데이터베이스 구성 파일을 이요하여 개별적인 환경 구성 . 3개의 기본 테이블 스페이스 : SYSCATSPACE, TEMPSPACE1, USERSPACE1 . SYSCATSPACE 테이블 스페이스에는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타 테이블인 시스템 카탈로그 테이블이 생성 . 데이터에 대한 변경 사항은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로그 파일에 기록 초기 3개의 기본 로그 파일과 2개의 보조 로그 파일이 생성 데이터베이스 구성 파일을 이용하여 로그 파일의 개수와 크기를 조절 데이터베이스 생성 및 제거 ; 생성 # su - db2inst1 $ db2 "create db NEW_DB" $ ls -al ~/$DB2INSTANCE/NODE* $ db2 "create db NEW_DB on /database/db2data" $ ls -al /database/db2data/$DB2INSTANCE/NODE* ;예제 $ db2 "create db NEW_DB automatic storage yes on /db2data" ; 확인 $ db2 list db directory ; CODESET, TERRITORY 지정 $ db2 "create db NEW_DB using codeset <CODESET> TERRITORY <국가코드> $ db2 get db cfg for NEW_DB | grep <국가코드> ; 제거 $ db2stop $ db2 drop db NEW_DB 접속 및 해제 ; 접속 $ db2 connect to NEW_DB $ db2 "select * from syscat.tables" $ db2 "select current date from syscat.tables" ; 접속 해제 $ db2 connec...

db2 테이블스페이스

테이블스페이스 관리 . 테이블 스페이스는 테이블을 저장하는 논리적 개념 . 테이블 스페이스를 구성하는 물리적인 개념은 Container ; 디폴트 테이블스페이스 SYSCATSPACE : catalog table 및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테이블들이 저장 TEMPSAPCE1 : temporary 테이블 스페이스 USERSAPCE1 : 사용자가 생성한 오브젝트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이블스페이스 테이블 생성시 테이블스페이스를 지정하지 않을 경우 디폴트로 이 테이블스페이스를 사용 ; 테이블스페이스 관리 방식 . System Managed Space(SMS) - 운영체제가 테이블스페이스를 관리 - 컨테이너로 디렉토리가 사용되며 운영체제의 파일시스템이 스토리지 할당 및 관리를 제어 . Database Managed Space(DMS) - 데이터베이스가 테이블스페이스를 관리 - 컨테이너로 file과 raw device가 이용 . Automatic Storag table space - DB2가 자동으로 스토리지를 관리 - 테이블스페이스 타입에 따라 SMS, DMS로 자동 생성하며 컨테이너를 지정할 필요 없음 ; 테이블스페이스 타입 . Regular - 오브젝트 및 인덱스의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 Temporary - System Temporary : 정렬 및 SQL문 및 기타 작업 실행 시 데이터베이스 Manager가 사용하는 영역 - User Temporary : 세션의 전역 임시 테이블의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영역 . Large - regular 처럼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나 관리 유형이 DMS일 경우에만 생성이 가능 테이블스페이스 생성/확장/삭제 ; 생성 $ db2 connect to NEW_DB $ db2 "create tablespace NEW_TS managed by database using (file '/data/db2inst1/db2data/NEW_TS_FILE...